본문 바로가기
심리지원

지능검사, 인지검사에서 집행기능이란

by 발견하는 기쁨-하영김 2025. 2. 26.
반응형

집행기능(executive function)은 인지심리학과 신경심리학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으로, 특히 사람의 사고와 행동을 조절하고 관리하는 고차원적인 인지 과정을 포함합니다. 집행기능은 주로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하위 기능으로 구성됩니다:

1. 목표 설정:
특정한 목표를 정하고 이를 위해 필요한 행동을 계획하는 능력입니다.

2. 계획 수립: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단계별 계획을 세우는 능력입니다.

3. 문제 해결:
예상치 못한 문제나 장애물이 발생했을 때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전략을 찾고 적용하는 능력입니다.

4. 유연한 사고:
상황이 변했을 때 사고 방식이나 행동을 유연하게 변화시키는 능력입니다.

5. 자기 조절:
감정이나 충동을 조절하고, 목표에 따라 행동을 조정하는 능력입니다.

6. 작업 기억:
정보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조작하는 능력으로, 이를 통해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7. 주의 집중:
여러 정보 중에서 중요한 정보를 선택하고 지속적으로 집중하는 능력입니다.

이러한 집행기능은 일상적인 문제 해결, 사회적 상호작용, 학습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집행기능이 저하되면, 예를 들어, 주의력을 유지하지 못하거나, 계획을 세우는 데 어려움을 겪고, 의사결정에서 실수를 하게 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인지검사에서는 이러한 집행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다양한 과제를 포함시킵니다. 예를 들어, 카드 분류 과제(즉, 특정 규칙에 따라 카드를 분류하는 작업)나 스트룹(Stroop) 테스트(색깔과 단어의 불일치를 인식하고 반응하는 작업)가 있습니다. 이 과제를 통해 개인의 집행기능의 질과 범위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