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과 융의 분석심리학은 몇 가지 공통된 뿌리를 공유하지만 중요한 방식으로 갈라지기도 합니다.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과 융의 분석심리학의 주요 차이점을 적어볼게요.
1. 무의식에 대한 견해:
프로이트: 프로이트의 무의식 개념은 의식, 전의식, 무의식의 세 부분으로 구분됩니다. 무의식은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억압된 욕망, 기억, 해결되지 않은 갈등의 저장소로 간주됩니다.
융: 융의 무의식 개념은 개인 무의식과 집단 무의식을 포함한다. 개인무의식은 개인의 고유한 경험을 담고 있는 반면, 집단무의식은 모든 인간이 공유하는 보편적인 상징과 원형을 담고 있다.
2. 원형과 집단 무의식:
프로이트: 프로이트는 신화와 꿈에서 보편적인 주제의 중요성을 인식했지만, 그의 이론의 중심 측면으로 원형적 상징을 포함한 집단 무의식을 강조하지는 않았습니다.
융: 융은 문화 전반에 걸쳐 공통된 선천적이고 보편적인 상징과 주제인 원형을 포함하는 집단 무의식을 크게 강조했습니다. 영웅, 그림자, 아니마/아니무스와 같은 원형은 인간 경험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꿈, 신화, 문화적 상징으로 표현됩니다.
3. 리비도와 에너지:
프로이트: 프로이트의 리비도 개념은 주로 성적 에너지와 관련이 있습니다. 그는 인간의 동기와 행동의 많은 부분이 리비도와 정신성적 발달의 다양한 단계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고 믿었습니다.
융: 융 역시 리비도의 개념을 인정했지만 그 의미를 성적 에너지를 넘어 확장했습니다. 융에게 리비도는 창의성, 영성, 개인적 성장을 비롯한 다양한 심리적 과정을 지향할 수 있는 보다 일반적인 생명 에너지입니다.
4. 성의 역할:
프로이트: 성은 프로이트 이론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그는 성격의 발달과 성적 경험이 심리적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기 위해 성심리 단계(구강, 항문, 남근, 잠재 및 생식기)라는 개념을 개발했습니다.
융: 융은 섹슈얼리티의 중요성을 인정했지만, 프로이트만큼 섹슈얼리티를 강조하지는 않았습니다. 융은 개성화 추구, 무의식 통합과 같은 다른 요인들도 개인 발달에 똑같이 중요하다고 믿었습니다.
5. 치료에 대한 접근 방식:
프로이트: 프로이트는 자유 연상, 꿈 분석, 전이와 같은 기술을 통해 무의식을 탐구하는 치료 접근법으로 정신분석학을 발전시켰습니다. 목표는 무의식을 의식화하고 억압된 갈등을 해결하는 것입니다.
융 : 분석심리학도 무의식에 대한 탐구를 포함하지만, 융은 조화롭고 통합된 자아를 달성하는 개성화 과정을 포함하도록 치료 과정을 확장했습니다. 융의 치료에는 꿈 분석, 적극적인 상상력, 전형적인 상징 탐구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
6. 자아의 개념:
프로이트: 프로이트의 자아 모델에는 이드, 자아, 초자아가 포함됩니다. 자아는 충동적인 이드와 도덕적 초자아 사이를 중재합니다.
융 : 융 의 자아 개념은 더욱 전체론적이며 개성화 과정, 즉 성격의 모든 측면을 통합하기 위한 평생의 여정을 포함합니다. 자아는 초월적이고 통합적인 힘을 나타냅니다.
정리해서 말하면, 프로이트와 융은 무의식을 탐구하는 데 있어서 공통점을 공유했지만, 무의식의 본질, 성의 역할, 심리적 발달의 전반적인 목표에 대해서는 서로 다른 견해를 보였습니다. 프로이트는 억압된 갈등의 해결에 더 초점을 맞춘 반면, 융의 분석 심리학은 집단 무의식의 통합과 개성화 추구를 강조했습니다.
'심리지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꿈해몽 VS 꿈해석,꿈분석 (1) | 2023.12.12 |
---|---|
의욕상실 또는 만사 귀찮을 때 (0) | 2023.12.12 |
프로이트 정신분석과 현대정신분석 이론들 (2) | 2023.12.10 |
미술치료 효과와 원리, 누구에게 좋을까 (0) | 2023.12.09 |
분리불안과 인간관계 (1) | 2023.1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