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일시(identification)는 개인이 다른 사람이나 집단과 자신을 동일시하는 심리적 현상으로, 종종 상대방의 특성, 행동 또는 신념을 취합니다. 이는 의식적으로 또는 무의식적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사회 및 성격 발달에 관한 많은 이론의 핵심 구성 요소입니다. 보통 어린 시절 양육자와 동일시가 가장 흔하게 일어납니다. 자신의 기질과 비슷한 양육자를 닮아가죠. 예를 들면, 어느 연예인은 절약을 하는 아버지를 따라 아버지의 습관과 가치관을 따라 닮아가고 자신의 습관으로 자리잡습니다. 성장하면서 동일시의 모델은 변해갈 수도 있습니다.
분석가들은 때때로 자신을 다른 사람과 같다고 생각한다는 의미로 이 용어를 사용하며, '병리학적 동일시' 또는 '과잉 동일시'(한 사람이 다른 사람과 더 비슷하다고 생각하거나 다른 사람이 더 비슷하다고 생각하는 경우)와 같이 종종 부적절하게 사용합니다. 하나, 실제로는 그렇지 않습니다.
식별은 복잡한 과정이며 개인과 상황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는 심리학 분야에서 지속적인 연구 주제입니다.
우리는 동일시라는 심리적 현상으로 인해 이야기, 드라마, 영화, 소설 속 인물과 동일시됩니다. 이 과정에는 등장인물의 경험, 감정, 동기에 공감하는 과정이 포함되며, 마치 우리가 이야기 속 사건을 직접 겪고 있는 듯한 느낌을 받을 수 있습니다. 요즘 과몰입이라는 단어가 자주 등장하는데 과몰입이 바로 시청자의 입장을 넘어 자신의 입장으로 감정을 매우 몰입하는 상황이 벌어지기도 합니다.
이런 동일시 또는 몰입이 발생하는 데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1. 경험 공유:
우리는 자신과 비슷한 경험을 겪고 있는 등장인물과 동일시합니다. 이것은 우리가 이해받고 있다는 느낌을 갖게 하고 우리의 투쟁에서 덜 외로움을 느끼게 할 수 있습니다.
2. 포부:
때때로 우리는 용기, 친절, 지능 등 우리가 갖고 싶어하는 자질을 구현하는 캐릭터를 자신으로 식별합니다. 이러한 캐릭터는 역할 모델이 되며 우리가 더 나은 사람이 되도록 영감을 줍니다.
3. 타인 이해:
등장인물과 동일시하는 것은 우리 자신과 다른 관점을 이해하는 데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는 공감을 키우고 우리의 세계관을 넓힐 수 있습니다.
4. 감정적 참여:
이야기는 때때로 강한 감정을 불러일으킵니다. 등장인물과 자신을 동일시할 때 우리는 그들의 기쁨, 슬픔, 두려움, 승리를 공유하게 되며, 이는 이야기를 더욱 매력적이고 기억에 남게 만들 수 있습니다.
5. 내러티브 이동:
이는 이야기의 세계로 "이동"되는 경험이며, 이는 등장인물과 동일시함으로써 촉진됩니다.
스토리텔링의 힘은 비록 짧은 순간이라도 다른 사람의 눈으로 세상을 볼 수 있게 해주는 능력에 있다는 것을 기억하세요. 이는 우리의 공감과 이해 능력을 보여주는 증거입니다.
최근 여러분은 영화, 드라마, 토크쇼, 등등에서 어떤 인물에 동일시 또는 공감하며 시청하셨나요?
'심리지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꿈분석시리즈 17]가방 분실, 잃어버린 꿈 (62) | 2024.01.12 |
---|---|
인간 아닌 이종 캐릭터 등장의 역할과 효과 (81) | 2024.01.10 |
심리치료 : 인지 행동 치료(CBT) (59) | 2024.01.08 |
프로이트와 영화 밀리언달러베이비 분석 (69) | 2024.01.04 |
[꿈분석시리즈 16]벌레, 곤충나오는 꿈 (4) | 2024.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