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지원

전이(Transference), 역전이(Countertransference)

by 발견하는 기쁨-하영김 2024. 2. 19.
반응형

전이와 역전이는 환자(또는 분석가)와 치료사(또는 분석가) 사이의 치료 관계의 역동성을 설명하는 정신분석학의 중요한 개념입니다. 이러한 현상은 치료 과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환자의 무의식적인 생각, 감정 및 관계 패턴에 대한 귀중한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사실 이런 일들은 일상에서도 일어나고 있습니다. 부정적인 방식으로 때로 긍정적인 방식으로 상대방으로부터 당하고 있는 또는 대접받는 사람은 영문을 모를 수 밖에 없습니다. 자신의 과거 관계 경험에서 자신도 모르게 투사하고 있는 것입니다. 예를 들면 금쪽이 방송을 보면 부부사이에, 자녀에게 자신의 과거 경험을 통해 무의식을 인지하지 못하고 행하는 것들이 많습니다. 무의식 속 감정, 생각 등이 영향을 주면서 움직이게 하기 때문입니다. 


▶전이(Transference):

전이는 중요한 과거 관계의 감정과 태도를 현재 치료 관계의 치료사 또는 분석가에게 무의식적으로 방향을 바꾸는 것을 말합니다. 이러한 감정은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이거나 양가적일 수 있으며 종종 환자의 경험과 어린 시절 또는 기타 중요한 관계에서 해결되지 않은 갈등을 반영합니다.

전이의 예:

어린 시절 부모로부터 거부당하거나 버림받은 환자를 상상해 보십시오. 치료 과정에서 그들은 치료사에 대한 강한 의존성이나 궁핍함을 느낄 수 있으며, 부모 역할에 대한 과거 경험을 반영하는 방식으로 안심과 확인을 추구할 수 있습니다.

▶역전이(Countertransference): 

역전이는 치료사가 자신의 해결되지 않은 문제, 편견 또는 개인적인 경험에 의해 영향을 받는 환자를 향한 치료사의 무의식적인 정서적 반응, 태도 및 행동을 말합니다. 역전이 반응은 치료사의 능력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역전이의 예:
환자의 현재 문제와 관련된 외상적 사건을 경험한 치료사는 해당 환자와 상담하는 동안 불안이나 괴로움에 압도당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정서적 반응은 중립과 공감을 유지하는 치료사의 능력을 방해하여 잠재적으로 치료 과정을 손상시킬 수 있습니다.

신뢰, 공감 및 진정성을 바탕으로 구축된 치료 동맹을 유지하려면 치료사가 치료에서 전이와 역전이를 모두 인식하고 관리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치료사는 종종 전이 및 역전이 역학에 대한 인식을 사용하여 환자와의 무의식적 패턴, 갈등 및 관계 역학을 탐색하고 해석하여 더 깊은 통찰력과 치료적 성장을 이끌어냅니다.

전이 및 역전이의 효과적인 관리에는 치료사가 환자와의 작업에서 객관성, 경계 및 윤리적 기준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는 지속적인 자기 인식, 감독 및 동료와의 상담이 포함됩니다. 전이와 역전이를 이해하고 해결함으로써 치료사는 환자의 치유와 개인적 성장에 도움이 되는 안전하고 지원적인 치료 환경을 조성할 수 있습니다.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과 융의 분석심리학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과 융의 분석심리학은 몇 가지 공통된 뿌리를 공유하지만 중요한 방식으로 갈라지기도 합니다.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과 융의 분석심리학의 주요 차이점을 적어볼게요.

intojungle.tistory.com

 

프로이트와 영화 밀리언달러베이비 분석

오스트리아의 신경학자이자 정신분석학의 창시자인 지그문트 프로이트는 이드, 자아, 초자아의 세 가지 구성요소로 구성된 정신의 구조적 모델을 제안했습니다. 이 세 가지 요소가 함께 작용하

intojungle.tistory.com

 

프로이트 정신분석과 현대정신분석 이론들

오스트리아의 신경학자인 지그문트 프로이트는 19세기 말과 20세기 초에 정신분석학을 발전시켰습니다. 프로이트의 정신분석 이론은 무의식의 중요성과 그것이 인간 행동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

intojungle.tistory.com

 

방어기제-반동형성

방어기제는 개인이 불안이나 정서적 고통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무의식적으로 사용하는 심리적 전략입니다. 이러한 메커니즘은 무의식적인 수준에서 작동하며 개인이 스트레스가 많

intojungle.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