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심리지원389

도박 중독의 원인 ㅣ도박 중독의 유형 ㅣ도박 중독의 위험 도박으로 인한 연예계 뉴스가 잊을만하면 나오네요. 돈을 많이 벌면서도 끊임없이 그들은 왜 그런 유혹에 빠질까요?  도박 중독은 강박적 도박 또는 도박 장애라고도 하며, 부정적인 결과에도 불구하고 도박에 대한 통제할 수 없는 충동을 특징으로 하는 심각한 행동 건강 문제입니다. 도박 중독의 원인, 유형, 위험 및 이유를 아래에서 읽어보세요.▶도박 중독의 원인 도박 중독의 원인은 다면적이며 생물학적, 심리적, 사회적 요인의 상호 작용을 통해 이해할 수 있습니다. 1. 생물학적 요인:- 뇌 화학:도박은 뇌의 보상 시스템을 활성화시키며, 특히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과 관련이 있습니다. 이는 마치 약물 중독에서 경험하는 '도취감'과 유사한 상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뇌는 이러한 자극에 둔감해져 .. 2024. 10. 19.
노년 우울증 ㅣ노인 우울증 원인 ㅣ 특징과 치료법 ㅣ다른 연령대 우울증과의 차이점 노년 우울증 또는 노인 우울증(late-life depression or elderly depression)이라고도 하며, 65세 이상의 개인에게 발생하는 우울증을 말합니다. 젊은 성인의 우울증과 많은 유사점을 공유하지만 고유한 과제와 고려 사항도 있습니다. 노인우울증( elderly depression)▶ 원인: 1. 생물학적 요인: - 뇌 변화:사람들이 나이가 들면서 뇌 구조와 기능에 변화가 생길 수 있으며, 여기에는 우울증에 기여할 수 있는 신경전달물질 활동(예: 세로토닌, 도파민)이 감소하는 것도 포함됩니다. - 의학적 상태: 심장병, 당뇨병 또는 신경 장애와 같은 만성 질환은 우울증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 유전적 요인: 우울증의 가족력은 노인이 우울증을 앓기 쉬운 경향이 있습니다. 노.. 2024. 10. 17.
2023년 자살사망통계 ㅣ전년대비 2.2명(8.5%)증가 2023년 자살률이 전년 대비 증가했다는 소식은 정말 마음 아프게 다가옵니다. 자살률이 10만 명당 27.3명으로, 2022년 대비 8.5% 증가했다고 하니, 이는 2018년 이후 가장 높은 수치라고 합니다. 특히, 남성과 여성 모두 자살률이 증가했으며, 연령대별로는 60대, 50대, 10대에서 증가폭이 컸다고 합니다. 자살률 증가는 사회적 고립 및 경제난 심화 등 코로나19가 남긴 후유증과 자살을 하나의 선택지로 인식하는 경향이 높아진 데 따른 것으로 추정된다고 합니다. 정부는 자살예방정책을 강화하고, 자살예방 상담전화 번호를 109로 통합하여 운영하며, SNS 상담서비스를 개통하는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합니다. 혹시 도움이 필요하시거나 주변에 도움이 필요한 분이 있다면, 주저하지 말고 상.. 2024. 10. 15.
공부를 포기하게 돼요 ㅣ아무것도 하기 싫어요 ㅣ인정받기 위한 공부 vs 자신이 원하는 공부 학교를 다니는 어린이, 청소년들은 대부분 공부 성적과 점수에 걱정과 고민이 많습니다.  나름대로 노력은 했으나 원하는 것을 얻지 못하는 경우가 많고  성적은 스트레스 요인으로 무기력,  우울과 같은 심리적인 어려움을 주기도 합니다. 한국의 경우 대학 진학을 목적으로 공부하다보니 자신의 욕구나 의지와 상관없이 공부를 하게됩니다.  아이들 중에 길을 그릴 때 수직상승 하는 길을 그리는 일이 흔합니다. 정상에 도달하고자 하는 상승 욕구가 대단히 높음을 알 수 있습니다.  목표는 산의 크기만큼이나 높지만 작은 자신의 모습으로 볼 때 위축되어 있습니다. 목표가 너무 높은 것이 아닌지 점검해볼 필요도 있습니다. 현실과 너무 달리 목표가 지나치게 높은 것은 아닌지, 부모가 아이들의 현실적인 수준과 달리 목표를 너무 .. 2024. 10. 9.
비자살적 자해(NSSI: Non-suicidal self-injury) ㅣ비자살적 자해의 이유와 치료 비자살적 자해(NSSI :Non-suicidal self-injury)는 자살 의도 없이 신체 조직에 고의로 자해를 가하는 것을 말합니다. 비자살적 자해는 베기, 태우기, 긁기, 때리기 또는 물기 등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습니다. 이는 심각한 정신 건강 문제로, 종종 정서적 고통에 대한 부적응적 대처 메커니즘으로 사용됩니다. 비자살적 자해를 하는 사람은 죽을 의도가 없지만, 이 행동은 주의 깊은 관심이 필요한 심리적 고통의 신호입니다. ▶비자살적 자해(NSSI :Non-suicidal self-injury)의 이유자해의 동기는 다양하지만, 연구에 따르면 몇 가지 주요 심리적 요인이 있습니다.  1. 감정 조절(Emotion Regulation): 많은 사람들이 압도적인 감정을 조절하는 방법으로 자.. 2024. 10. 5.
라캉이 말하는 아버지의 의미와 역할, 건강한 아버지란 라캉의 정신 분석에서 아버지라는 인물은 주체의 구조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특히 무의식의 형성과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의 해소와 관련이 있습니다. ▶ 라캉 이론에서 아버지의 역할 1. 상징적 아버지: 라캉에게 아버지는 생물학적 인물이라기보다는 주로 *상징적 기능*입니다. 이는 그가 "아버지의 이름"(*Nom du Père*)이라고 부르는 것으로 요약됩니다. 아버지는 자녀와 어머니의 관계에 개입하는 법을 나타냅니다. 그는 자녀를 언어, 문화, 사회적 규범의 영역으로 소개하여 자녀를 어머니의 욕망에서 분리합니다.아버지의 법: 아버지는 금지, 특히 근친상간(어머니에 대한 무의식적 욕망) 금지를 시행합니다. 이 금지는 아이가 어머니와의 상상의 쌍에서 벗어나 상징적 질서, 즉 언어, 법, 사회적 규범의 영역으로.. 2024. 10.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