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604

[도서]무기력의 비밀, 우리 아이들의 열정과 동기는 어떻게 사라졌을까? 저자 : 김현수, 정신의학과 전문의 청소년의 무기력에 주로 집중한 책이지만 읽다보면 성인들의 무기력도 청소년 무기력과 크게 다르지 않아 이해에도 큰 도움이 됩니다.  책 목차 Part 1. 무기력 시스템 이해하기Part 2. 무기력한 아이들 돕기 - 잠자는 거인을 깨우는 법  요즘은 그 어느 때보다 포기자가 넘쳐나는 시대입니다. 수포자, 영포자, 학포자 등,[포기나 무기력하게 지내기]는 어떤 의미에서 상처받지 않으려고 하는 행위, 포기한 이후에는 회피, 도주로 포기를 지속시킨다. 남들에게 납득시키기 위해 자신을 무능한 사람으로 인식하도록 계속 무기력한 상태로 지낸다고 합니다.  무기력의 개념은 스펙트럼이 상당히 넓다. *helplessness : 시도를 하다가 포기한 느낌, 무조감*avoiltion : .. 2024. 8. 25.
화가와 자화상(고흐, 프리다 칼로, 램브란트) 자화상은 역사 전반에 걸쳐 많은 유명 화가에게 중요한 예술적 표현 양식이었습니다. 자화상으로 잘 알려진 세 명의 유명 예술가와 이러한 작품을 통해 표현하고자 했던 것에 대한 통찰력을 소개합니다.  1. 빈센트 반 고흐(Vincent van Gogh, 1853-1890)√주목할 만한 자화상: 반 고흐는 평생 동안 30개가 넘는 자화상을 그렸는데, 여기에는 유명한 "귀에 붕대를 감은 자화상"(Self-Portrait with Bandaged Ear, 1889)이 포함됩니다. √그가 표현하려고 했던 것: *내면의 혼란과 정신적 갈등: 반 고흐의 자화상은 종종 그의 강렬한 감정적, 심리적 상태를 반영합니다. 그는 대담하고 표현력이 풍부한 붓놀림과 생생한 색상을 사용하여 특히 정신 질환을 앓는 동안 그가 경험한 .. 2024. 8. 21.
미술 치료, 자화상 그리기의 의미(Drawing self-portraits) 자화상을 그리는 것(Drawing self-portraits)은 심리 치료와 미술 치료에서 강력한 치료 도구입니다. 자화상 그리기는 자기 탐구와 표현을 위한 거울 역할을 하며, 자신의 정체성, 감정, 경험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합니다. 자화상을 그리는 것의 의미와 이점을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자화상 그리기의 의미1. "자기 반성과 정체성 탐구":  나는 누구인가?: 자화상을 그리는 것은 자신의 정체성을 탐구하고 표현하는 방법입니다. 개인이 자신이 누구인지, 자신을 어떻게 보는지, 다른 사람에게 어떻게 보이기를 원하는지에 대해 직면하고 성찰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 과정은 자신의 정체성의 무의식적이거나 숨겨진 부분을 포함하여 자기 개념의 깊은 측면을 드러낼 수 있습니다.  개인적 서사: 사람이 자신을 묘사.. 2024. 8. 21.
상호 의존성(interdependence)이란? ㅣ상호 의존성에 기반한 관계를 구축하는 법 ∏상호 의존성(interdependence)이란? 관계에서의 상호 의존성은 두 파트너가 개성과 독립성을 유지하면서도 서로에게 지원을 의존하는 건강한 역동성을 말합니다. 이는 두 개인이 자아감을 잃지 않으면서도 서로의 웰빙에 기여하는 균형 잡히고 상호 이익이 되는 관계입니다. 상호 의존성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상호 지원" 상호 의존적 관계에서 두 파트너는 서로에게 정서적, 정신적, 때로는 신체적 지원을 제공합니다. 이 지원은 상호적이고 균형 잡혀 있어 어느 누구도 압도당하거나 소홀히 여겨진다고 느끼지 않도록 합니다. 2. 건강한 경계두 파트너는 서로의 개인적 공간, 시간 및 경계를 존중합니다. 그들은 관계 밖에서도 개인의 관심사, 우정 및 활동을 유지하는 것의 중요성을 이해합니다.  3.. 2024. 8. 19.
무기력 상태의 의미, 잠재적 원인, 일상에 미치는 영향 ▶무기력 상태의 의미 무기력은 압도적인 피로감, 졸음, 에너지나 열정의 부족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적, 정신적 부진한 상태입니다. 무기력을 경험하는 사람은 활동에 참여하거나 집중하거나 경계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으며, 종종 휴식이나 수면에 대한 강렬한 필요성을 느낍니다. 일시적이고 종종 휴식으로 완화되는 단순한 피로와 달리 무기력증은 더 지속적이며 일상생활에 상당한 방해가 될 수 있습니다. 심리적 관점에서 무기력증을 더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신체적 측면:- 피로:무기력증은 수면이나 휴식으로 개선되지 않는 만연한 피로감을 포함합니다. 이 피로는 근력과 지구력에 영향을 미치는 신체적 피로와 집중력과 기억력과 같은 인지 기능을 손상시키는 정신적 피로가 모두 있습니다. 움직임의 느림: 무기력증을 경.. 2024. 8. 18.
반응형